대상화와 모방으로 점철된 피해자 마츠코의 일생 ;이리가라이의 이론으로 분석한 I. 들어가며은 이미 최악인 것 같은데도 계속해서 더 깊은 나락으로 빠져드는, 마츠코의 짧은 삶을 다룬 영화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에 있어 고갈되지 않는 그녀의 에너지에 경탄하고 예수의 그것과 동일시되는 그녀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희생에 주목한다. 그러나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남성으로부터 학대당하면서도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는 마츠코가 이해되지 않았고 불편하기도 했다.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이 영화를 감상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고 이번 기회를 통해 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으로 이 영화를 분석해보려 한다. II. 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에 대한 개괄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을..
세상에 맞서는 댄디의 카르페디엠: 소공녀 microhabitat, 2018 는 3월 개봉한 독립영화로, 인생에 담배, 위스키, 남자친구만 있으면 족하다는 주인공 미소가, 월세가 오르자 담배와 위스키가 아닌 집을 포기하고 대학시절 친구들의 집을 전전하는 과정을 그렸다. 미소는 대학시절의 친구들 그리고 남자친구와는 매우 대조적인 인물인데 이를 댄디와 스놉 그리고 카르페디엠과 포스트모던의 분열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I. 요약 II. 군중 속 고독한 댄디, 미소1. 스놉2. 댄디3. 더 멀어진 스놉과 댄디 III. 미소의 카르페디엠은 연속적이다1. 카르페디엠과 스키조2. 미소와 카르페디엠3. 유예된 행복 혹은 실종된 행복4. 누가 스키조인가 I. 요약미소는 일당 사만 오천 원을 받는 가사 도우미 일..
문라이트 피의연대기 등에 대해서도 써야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