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 있음 좋은 시절의 파리를 담은 애니메이션이라는 파리의 딜릴리를 아주 기대하고 있다가, 개봉하는 날 보고 왔다. 영화를 보는 내내 불쾌했고 결론적으로는 이 영화 별로였다. 주인공인 유색인종 여성 딜릴리는 깜찍한 리본을 머리에 달고 줄넘기하기를 좋아하는 "깜찍한 소녀"였고 또 다른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오렐은 "잘생긴 백인 소년"이었다. 오렐의 절반이나 되는지 모르겠는 작은 체구의 딜릴리는 영화 내내 당찬 발언과 행동으로 관객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사실은 그냥 당찬 쪼끄만 여자애일 뿐이었다. 오렐과 딜릴리가 어울려다님을 생각할 때 둘이 나이 차이가 있을지라도 또래일텐데- 딜릴리가 당차고 똑똑하게 그려지긴하지만 어쨌든- 여전히 유아적인 외형과 특성을 많이 갖고 있다. 당대 파리의 유명인사들을 "얘들 다 ..
런던 오는 비행기 안에서 봤다.사실 비행기에서 영화보면 집중을 많이는 못해서 막 깊이 있게 감상하기는 힘들다. 음악도 잘 안들리고 그래서 영화의 진가를 못 알아볼 수도 있다. 이걸 다 본 다음에는 콜미바이유어네임을 봤는데 솔직히 그건 기대했던 것 만큼은 아니었고. 레이디 버드는 좋았다.사실 내용 자체가 막 새로운 건 아니었다. 자의식 강한 고등학생이 '잘 나가는' 친구들과 친해지고 싶어서 소중한 원래의 친구를 외면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원래 친구에게 돌아가는 류의 플롯은 굉장히 많은 하이틴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으니까. 그치만 레이디버드에서 정말 좋았던 부분은 가족-정확히 말하자면 그의 엄마 마리온-과 관련된 부분이었던 거 같다 그러니까 마리온의 '억셈' 그의 대사 등이 좋았다 그는 크리스틴과의 관계성..
대상화와 모방으로 점철된 피해자 마츠코의 일생 ;이리가라이의 이론으로 분석한 I. 들어가며은 이미 최악인 것 같은데도 계속해서 더 깊은 나락으로 빠져드는, 마츠코의 짧은 삶을 다룬 영화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에 있어 고갈되지 않는 그녀의 에너지에 경탄하고 예수의 그것과 동일시되는 그녀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희생에 주목한다. 그러나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남성으로부터 학대당하면서도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는 마츠코가 이해되지 않았고 불편하기도 했다.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이 영화를 감상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고 이번 기회를 통해 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으로 이 영화를 분석해보려 한다. II. 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에 대한 개괄뤼스 이리가라이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이론을..
세상에 맞서는 댄디의 카르페디엠: 소공녀 microhabitat, 2018 는 3월 개봉한 독립영화로, 인생에 담배, 위스키, 남자친구만 있으면 족하다는 주인공 미소가, 월세가 오르자 담배와 위스키가 아닌 집을 포기하고 대학시절 친구들의 집을 전전하는 과정을 그렸다. 미소는 대학시절의 친구들 그리고 남자친구와는 매우 대조적인 인물인데 이를 댄디와 스놉 그리고 카르페디엠과 포스트모던의 분열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I. 요약 II. 군중 속 고독한 댄디, 미소1. 스놉2. 댄디3. 더 멀어진 스놉과 댄디 III. 미소의 카르페디엠은 연속적이다1. 카르페디엠과 스키조2. 미소와 카르페디엠3. 유예된 행복 혹은 실종된 행복4. 누가 스키조인가 I. 요약미소는 일당 사만 오천 원을 받는 가사 도우미 일..
보물이 피라미드 근처에 있다는 것은 자네도 이미 알고 있었네만, 그럼에도 자네가 내게 양 여섯 마리를 주어야 하는 이유는 내가 자네의 결심을 도와주었기 때문이라네 결심을 내린다는 게 때로는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기 때문에 행복의 비밀은 이 세상 모든 아름다움을 보는 것, 그리고 동시에 숟가락 속에 담긴 기름 두 방울을 잊지 않는 데 있도다.나는 너무 기름 두방울에 몰두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늘 시야를 숟가락에 국한되지 않게 하려 노력하지만 쉽지 않고. 그런데 좀 구체화해서 나 너무 숟가락만 보고 있는거 아니야? 생각하면 균형잡기 조금더 쉽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 그의 얼굴에는 진지하게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사람의 아름다운 미소가 깃들어 있었다. 일상에 애착을 가지고 진지하게 임하는 것이 얼마나 행..